산업

日1000만명 쿠팡 소비자 정보 유출 보안 안전 사각지대 방치

today T 2021. 9. 27. 12:41

양정숙 의원 “중국 정부 감시망에 묶인 쿠팡 고객 데이터”


일평균 1000만명이 이용하는 쿠팡의 소비자 정보가 데이터 유출 사고에 취약한 상황에 처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쿠팡 플랫폼에 가입돼 있는 국내 소비자들의 개인정보와 위치정보가 중국기업을 통해 중국으로 넘어갈 위기에 직면한 것으로 보고되면서다.

26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양정숙 의원에 따르면, 쿠팡은 수집한 개인정보를 중국에 있는 쿠팡 자회사인 ‘한림네트워크(상해‧베이징) 유한공사’라는 곳으로 이전해 데이터가 보관·관리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는데, 이는 중국 ‘네트워크안전법’에 따라 중국 정부의 수집‧감시망에 묶여 있으며 중국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쿠팡의 고객 데이터를 상시 정보 열람할 수 있도록 돼 있어 국내 소비자의 정보 유출 및 보안 안전 사각지대에 방치돼 있는 상황이다.

문제는, 개인정보 보안 강화에 필요한 후속조치를 취하는데도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다른 나라로 정보 이전 시 중국 정부로부터 검열‧평가를 거쳐야 하는데, 국가안전과 사회공익 등을 이유로 지연 및 거절될 가능성이 상당하다는 게 양 의원 설명이다.

쿠팡의 회원정보 관리방안을 두고 보다 강도 높은 정보 보안 조치가 요구된다는 지적도 이런 이유에서 강조되고 있는 상황.

그는 “중국 당국은 정부가 수집하거나 감시하고 있는 정보에 대해서는 규제하지 않기 때문에 정보가 중국에 있는 동안에는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언제든지 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여건을 갖추고 있어 정보 유출에 대한 우려가 크다”면서 “여기에는 쿠팡 회원가입 및 직접 쇼핑에 필요한 이름, 생년월일, 연락처, 이메일 등 인적 정보는 물론 주소, 닉네임, 계좌번호, 비밀번호 심지어는 출산 정보 등을 기재하도록 돼 있는 점을 감안하면, 우리 국민 개개인의 사생활 정보가 중국 정부의 손아귀에 들어간 상태”라고 지적했다.

한편, 쿠팡의 태도에 대해서도 문제 삼았다.

우리 정부가 이용정보 제공 및 콘텐츠 삭제 등을 기업들에게 요청하는데, 이와 관련 쿠팡은 정기적으로 작성해 매년 공개하는 ‘투명성 보고서’를 발간하지 않고 있다는 게 양 의원 설명이다.

그는 “투명성 보고서는 지난 2010년 구글이 처음으로 발간한 이후 트위터, 야후, 페이스북, 애플 등 세계적인 기업들이 뒤이어 발표하고 있고 네이버와 카카오 등도 동참하고 있는데, 동급 플랫폼인 쿠팡은 이를 행하지 않고 있다”면서 “쿠팡 채널은 일평균 900~1000만명 가까이 누구나 이용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쇼핑 앱인데, 데이터 경제에 가장 중요한 핵심정보가 우리의 통제를 벗어나 중국으로 넘어갈 수도 있다”면서 쿠팡에 대해 조속한 대책 마련을 주문했다.

앞서 조사업체 앱·리테일 분석서비스 ‘와이즈앱’이 공개한 조사 결과를 보면, 쿠팡은 지난 8월 한 달간 2359만여명이 이용한 것으로 집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