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T][리얼부동산] 희소가치 높은 ‘소형 단지’ 인기···“저가 아파트가 매매 시장 주도할 것”
전국 300가구 미만 아파트 올 들어 매매 비중 역대 ‘최고’
매매 비중 올해 1분기 23.5%…물량 줄고 가격 상승 ↑

[투데이T 천수진 기자] 올해 전용면적 60㎡ 이하 소형 아파트 거래가 활기를 띠고 있다.
대단지보다 주거 선호도가 낮아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소규모 단지의 매매 수요가 올해 들어 대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통령 선거 전후로 아파트 시장이 극심한 거래 절벽에서 자금 부담이 덜한 소형아파트부터 회복 조짐을 보이는 가운데 저가 아파트 위주로 거래가 늘어난 영향으로 풀이된다.
한국부동산원 자료에 따르면 최근 아파트 매매에 나선 수요자 중 절반이 소형을 선택한 것이다. 2월 기준 수도권 전용 61~85㎡ 평균 매매가는 8억9717만원으로 9억원을 코앞에 두고 있다. 85㎡ 초과는 13억 977만원으로 조사됐다. 반면 전용 60㎡ 이하 매매가는 6억2290만원이다. 서울 경기 등 수도권에서도 소형 아파트의 인기가 꾸준하다.
24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지난 22일 기준으로 올해 1분기(1∼3월) 전국에서 5만5천704건의 아파트 매매가 이뤄진 가운데 300가구 미만의 아파트 매매가 23.5%(1만3천106건)를 차지했다.
이어 300∼499가구 20.4%, 700∼999가구 19.0%, 500∼699가구 15.3%, 1천∼1천499가구 12.3%, 1천500가구 이상 9.4% 등의 순이었다.
300가구 미만의 소형 단지 아파트 매매 비중은 2020년 16.8%까지 낮아졌으나 지난해 20.1%로 올라선 데 이어 올해는 1분기에는 23.5%까지 상승했다. 이는 역대 최고치 기록이다.
반면 1천500가구 이상의 대단지 아파트 매매 비중은 22일 기준으로 올해(9.4%) 처음으로 한 자릿수로 떨어졌다.
여경희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소규모 단지는 통상 대단지와 비교해 주거 선호도가 낮기 때문에 매매가가 저렴한 편"이라며 "집값 단기 급등에 따른 피로감, 강화된 대출 규제 지속, 금리 상승에 따른 대출 이자 상환 부담 증가 등이 맞물리면서 실수요자들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아파트 매수에 나서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소규모 단지는 매매 수요가 늘고 있지만, 공급은 줄면서 가격이 상승세다.
전국 300가구 미만 아파트의 가구 비중은 2006년 22.9%에서 지난해 18.1%로 15년 연속 줄었고, 올해 1분기에는 18.0%로 더 내려왔다.
3.3㎡당 매매가는 2015년 1천4만원으로 1천만원을 넘은 데 이어 2016년 1천54만원, 2017년 1천132만원, 2018년 1천289만원, 2019년 1천374만원, 2020년 1천612만원, 지난해 1천856만원으로 최근 몇년간 급등했다. 올해 1분기에는 1천862만원에 이르렀다.
2개 동, 202가구로 구성된 경기도 의정부시 금오동 우암센스뷰아파트 전용면적 84.794㎡는 지난 18일 3억1천만원(15층)에 팔려 이 면적 역대 최고가를 경신했다.
특히 대선 이후 규제 완화 기대감에 매매가 늘어난 가운데 여전히 대출 규제와 금리 인상 등의 영향으로 6억원 이하 저가 아파트 매매 비중이 높아지는 추세다.
지난달 9일 대선 이후 이달 22일까지 신고된 서울 아파트 거래량 총 1천383건 가운데 6억원 이하 아파트 거래량은 총 547건으로 전체의 39.6%에 달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6억원 이하 거래 비중 33.9%에 비해 5.7%포인트(p) 커진 것이다.
전문가들은 “지난달 31일 다주택자 양도소득세 중과세율을 4월부터 1년간 한시적으로 배제하는 조치를 추진으로 세금 부담이 줄어들면서 상대적으로 저렴한 소형 아파트의 가격 상승세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24일 금융권에 따르면 KB·신한·하나·우리·NH농협 5대 은행의 지난 21일 현재 가계대출 잔액은 모두 703조4천484억원으로 집계됐다. 주택담보대출 3월 말보다 4천8억원 늘어난 것이다.
이에 비해 주택담보대출비율(LTV)이 제한되는 9억원 초과∼15억원 이하 아파트 거래 비중은 같은 기간 23.0%에서 22.8%로 줄었다.
주택담보대출이 아예 나오지 않는 15억원 초과 아파트는 16.3%에서 14.7%로 감소 폭이 더 컸다.
여 수석연구원은 "대선 이후 대표적인 서민 주택담보대출인 보금자리론을 받을 수 있는 6억원 이하 저가 아파트가 매매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며 "이런 경향은 당분간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그는 "차기 정부가 실수요자들의 내 집 마련을 위해 대출 규제 완화를 공약했지만, 최근 기준금리 인상 기조에서 대폭의 완화를 기대하기는 어렵다"고 설명했다.
http://www.todayt.co.kr/news/articleView.html?idxno=2941
[리얼부동산] 희소가치 높은 ‘소형 단지’ 인기···“저가 아파트가 매매 시장 주도할 것” -
올해 전용면적 60㎡ 이하 소형 아파트 거래가 활기를 띠고 있다.대단지보다 주거 선호도가 낮아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소규모 단지의 매매 수요가 올해 들어 대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www.today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