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T] 서울 아파트 매수심리 3년반 만에 최저···내년 시장 거래침체 골 깊어질 듯
부동산원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 75.4
9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도 역대 가장 낮아
지수 낙폭도 커져 수도권 9년9개월만 최저
[투데이T 천수진 기자] 시중은행의 대출이자가 7%까지 치솟는 등 금리가 가파르게 오르면서 주택 매수심리가 갈수록 얼어붙고 있다.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가 3년6개월여 만에 최저를 기록했다.
4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이번주(10월31일 조사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72.9로 지난주 75.4에 이어 2.5포인트(p) 떨어졌다.
지난 5월 첫 주(91.1) 이후 26주 연속 하락세이며, 단순 수치상으로는 2019년 4월 넷째주(72.4) 이후 3년6개여 만에 최저다. 지수 낙폭도 지난주(0.6p)보다 4배 이상으로 커졌다.
매매수급지수가 기준선인 '100'보다 낮을수록 시장에 집을 사려는 사람보다 팔려는 사람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서울 아파트 '거래 절벽' 현상은 갈수록 악화하고 있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 조사 기준 지난 9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614건(계약일자 기준)으로 연중 최저이면서 2006년 실거래가 조사 이후 역대 최저를 기록했다.
작년 9월(2천691건)과 비교해서도 22.8%에 불과한 저조한 실적이다.
서울 5개 권역중 유일하게 지수 80선을 유지했던 서남권(영등포·양천·동작구 등)의 지수가 지난주 82.6에서 이번주 78.4로 떨어지며 지수 80선이 깨졌다.
또 종로·중·용산구가 있는 도심권은 이번주 매매수급지수가 69.3을 기록하며 70선 밑으로 떨어졌다.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이 있는 동북권의 수급지수는 지난주(69.6)보다 더 내려간 67.3을 기록하며 서울 5대 권역 중 최저로 조사됐다. 이 수치는 부동산원이 수급지수 조사에 나선 2012년 7월 이후 가장 낮은 것이다.
은평·서대문·마포구 등이 있는 서북권도 67.9로 지난주(68.2)보다 떨어지면서 지수가 2019년 7월 첫째주(63.5) 이후 약 3년4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강남4구(강남·서초·송파·강동구)가 있는 동남권의 매매수급지수는 77.4로 2주 연속 지수 80을 밑돌았다. 경기(76.5)와 인천(74.5) 지수도 지난주보다 하락하면서 수도권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75.2로 내려왔다.
2013년 2월 마지막주(75.0) 조사 이후 9년9개월 만에 가장 낮은 것이다.
전국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도 80.6으로 지난주(82.3)보다 하락하며 지수 80선 붕괴가 초읽기에 들어갔다.
전세시장은 '깡통전세' 우려지역이 확산하는 가운데 서울의 전세수급지수는 지난주 75.4에서 이번주 72.9로 급락했다.
전세를 찾는 세입자보다 세입자를 찾는 집주인이 훨씬 많다는 얘기다.
서울 동남권 전세수급지수는 76.5를 기록하며 지수 80 아래로 떨어졌다.
수도권의 전세수급지수도 76.4로 지난주(79.2)보다 하락했다.
◇ 올해보다 내년 시장 전반 걸쳐 가격 하락세와 거래 침체 심각 예고
문제는 업계분석결과 내년에도 높은 금리와 경기 둔화 등의 영향으로 집값 하락세가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수도권은 2.0% 하락, 지방은 3.0% 떨어져 수도권보다 지방의 낙폭이 상대적으로 클 것으로 예측했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하 건산연) 은 2023년 건설·부동산 경기전망 세미나에서 내년 전국 주택가격이 2.5% 하락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올해 누적 집값 하락 전망치(-1.8%)보다 낙폭이 큰 것이다.
김성환 건산연 부연구위원은 지난달 28일 비상경제대책회의에서 밝힌 금융규제 완화가 낙폭 확대를 저지하는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이지만 지방의 경우 앞서 상승기에 주택 공급이 집중된 곳을 중심으로 수도권보다 하락폭이 클 것으로 내다봤다.
전세는 매수세 축소로 인해 전세시장으로 수요가 추가 유입되며 올해와 달리 전국 기준 0.5% 상승할 것으로 관측됐다.
김 위원은 "매매가격 상승에 대한 기대감이 줄면서 그 대안으로 임대차 시장의 수요가 늘 것"이라며 "금리 인상으로 인해 내년에는 임대인이 월세 가격도 인상하며 전세가 하락세를 1년 만에 마감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내년도 공동주택 분양승인 예상 물량은 27만호로 올해(31만호)보다 4만호 정도 줄고, 연간 인허가 물량도 올해 46만호에서 43만호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최근 원자재 등 공사비 상승, 분양시장 침체 등으로 민간의 지역별 옥석가리기가 심화돼 분양·인허가 물량이 전반적으로 감소할 것이라는 관측이다.
http://www.todayt.co.kr/news/articleView.html?idxno=4528
서울 아파트 매수심리 3년반 만에 최저···내년 시장 거래침체 골 깊어질 듯 - 투데이 T
시중은행의 대출이자가 7%까지 치솟는 등 금리가 가파르게 오르면서 주택 매수심리가 갈수록 얼어붙고 있다.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가 3년6개월여 만에 최저를 기록했다. 4일 한국부동산원에
www.today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