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가(4)
-
[투데이T] 전국 아파트값 오를만큼 올랐나···1월 주택 매매·전월세 동반 안정세
한국부동산원 월간 조사…서울 아파트값 1년8개월 만에 보합 전환 1월 전국주택가격 동향 [투데이T 천수진 기자] 정부의 가계 대출규제 효과로 지난달 전국의 주택 매매·전세·월세 가격 상승폭이 일제히 전월보다 둔화됐다. 서울 아파트값은 월간 기준으로 1년8개월 만에 보합 전환됐다. 15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1월 전국주택종합(아파트·연립·단독 포함) 매매가격은 전월 대비 0.10% 올랐다. 지난해 8월 0.96% 오른 이후 5개월 연속 상승폭이 축소된 것이다. 작년 하반기부터 강화된 대출 규제와 금리 인상, 대선을 앞둔 관망세 확산으로 거래가 급감하면서 시장이 위축되고 있는 상황이다. 서울(0.04%)과 인천(0.12%), 경기(0.05%)도 일제히 지난해 12월보다 상승폭이 둔화됐다. 이에 따라 수도권..
2022.02.17 -
[투데이T] ‘전세시장’에서 얻은 ‘불안’이라는 중독
[투데이T 천수진 기자] 임대등록사업자의 종부세 부담 증가가 임차인에게 전가될 우려가 커지고 있지만 정부는 종부세가 임차인에게 전가돼 전월세 가격이 오르는 것은 ‘과장된 이야기’라면서 방만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그간 임대차법으로 전셋값 상승이 제한된 데다 최근 서울과 수도권에서 매물이 증가세를 보이고 있어 임대인이 전세가를 올리기 어렵다는 것을 이유로 들었다. 하지만 부동산 업계는 서울과 수도권의 전셋값 상승 폭은 줄었지만 불안감은 여전히 크고 이 분위기는 내년까지 이어질 전망이라고 밝혔다. 업계 관계자의 목소리를 빌리면 “전세가격 상승 폭이 축소된 것은 계절상 비수기인데다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즌에는 이사와 관련된 움직임이 거의 없다. 이 상황에서도 서울은 전반적으로 매물 부족 현상이 계속되고 있고 ..
2021.11.26 -
[투데이T] 서울 집값 6개월 만에 상승폭 둔화···월세는 오름세로 반전
부동산원 10월 주택가격동향…‘개발호재’ 빌라·연립주택 상승세↑ 월세 가격 올라 세입자 부담 확대…지방 전셋값도 상승폭 ↑ 정부의 강력한 가계대출 규제로 인해 지난달 서울 주택 매매가격 상승폭이 6개월 만에 둔화됐다. 대출 규제 영향이 컸던 아파트와 단독주택의 가격이 두 달 연속 하락한 영향이다. 서울 주택 임대시장도 전셋값은 상승폭이 둔화된 반면 월세는 오름폭이 확대되며 세입자의 임대료 부담도 커졌다. 15일 한국부동산이 발표한 지난달 전국의 주택(아파트·연립·단독주택 포함) 가격은 0.88% 올라 9월(0.92%)에 이어 두 달 연속 상승폭이 축소됐다. 전국 아파트의 경우 1.18%, 연립주택은 0.51%, 단독주택은 0.25%를 기록하며 각각 전월 대비 오름폭이 줄었다. 서울의 주택가격은 전월(0...
2021.11.16 -
갭투자로 변질 ‘신혼희망타운’… 전세가가 분양가 역전 ‘속출’
홍기원 “공공분양은 분양가 상관없이 실거주 의무 강화해야” 신혼희망타운 수분양자들이 막상 주택을 공급받고도 실거주하지 않고 비싼 전세로 돌려 정책의 취지가 퇴보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홍기원 의원은 29일 보도자료를 내고서 “최근 입주가 시작된 평택 고덕 신혼희망타운은 6~9월 전월세 거래 33건이 이뤄졌고, 네이버 부동산에 따르면 이달 21일 기준으로 85건의 전월세 매물이 나와 있었다”라고 밝혔다. 평택 고덕 신혼희망타운은 전체 891가구로 신혼희망주택 569가구, 행복주택 295가구로 구성돼 있다. 시세 대비 100% 이상의 분양가로 실거주 의무가 없고 전매제한은 3년이다. LH가 신혼희망타운을 분양할 때 46.97㎡ 최고 분양가는 1억9884만원이었지만 올..
2021.0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