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월세(5)
-
[투데이T] 서울 아파트 매수심리 3년반 만에 최저···내년 시장 거래침체 골 깊어질 듯
부동산원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 75.4 9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도 역대 가장 낮아 지수 낙폭도 커져 수도권 9년9개월만 최저 [투데이T 천수진 기자] 시중은행의 대출이자가 7%까지 치솟는 등 금리가 가파르게 오르면서 주택 매수심리가 갈수록 얼어붙고 있다.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가 3년6개월여 만에 최저를 기록했다. 4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이번주(10월31일 조사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72.9로 지난주 75.4에 이어 2.5포인트(p) 떨어졌다. 지난 5월 첫 주(91.1) 이후 26주 연속 하락세이며, 단순 수치상으로는 2019년 4월 넷째주(72.4) 이후 3년6개여 만에 최저다. 지수 낙폭도 지난주(0.6p)보다 4배 이상으로 커졌다. 매매수급지수가 기준선인 '100'보다 낮을수..
2022.11.16 -
[투데이T] [리얼부동산] 서울 빌라가 아파트 ‘추월’···“송파구 전월세 거래 중 53%가 월세”
서울 아파트 평균 전셋값(6억7천570만원)의 3분의 1 수준 거래 송파·강남·서초·광진·마포구 순 인기···대출 규제, 금리 인상 영향 임대차법 시행 후 2년 도래하는 7월말 이후 수요 더 늘어날 듯··· [투데이T 천수진 기자] 올해 1분기(1∼3월) 서울 빌라(연립·다세대) 전·월세 거래량이 분기별로 역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부동산정보제공업체 경제만랩이 서울부동산정보광장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이날 기준 올해 1분기 서울 빌라 전·월세 거래량(계약일 기준)은 3만1천835건으로, 관련 통계가 작성되기 시작한 2011년 이후 분기기준 최다인 것으로 집계됐다. 최근 몇 년간 급격하게 치솟은 서울 집값과 강화된 대출 규제, 금리 인상 압박 등의 영향으로 상대적으로 주거 비용이 저렴한 빌라..
2022.05.26 -
[투데이T][새정부 주택공급계획] 분양가상한제·전월세 ‘투트랙’으로 시장 안정…내달 대책 발표
'공급 가뭄'에 상한제 개편 6월로 당겨 분양 촉진…실거주 의무도 손질 오피스텔 규제완화·민간임대 공급 확대…착한 임대인에 '인센티브' [투데이T 천수진 기자] 국토교통부가 분양가 상한제 개편 시기를 당초 알려진 하반기에서 6월로 앞당기기로 했다. 또 계약갱신청구권, 전월세 상한제 등 임대차3법으로 인한 하반기 전월세 시장 불안에 대비해 6월 중으로 전월세 대책도 함께 발표한다. 최근 서울 등 신규 아파트 공급 가뭄과 전월세 시장 불안 우려가 커진 가운데 이들 '투트랙' 전략을 조기에 시행해 시장 안정을 꾀하려는 것으로 풀이된다. ◇ 분양가 상한제 조기 개편으로 '공급 숨통' 틔운다…정비사업 분양 촉진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이 23일 기자간담회에서 당초 하반기로 예상됐던 분양가 상한제 제도 개편 시기를 ..
2022.05.26 -
[투데이T] 강남 오피스텔 분양가 5월 기준 평당 5868만원대 ‘오름세’
대형건설사 시공 오피스텔 상품 가치↑·공사원가 상승에도 ‘인기’ [투데이T 천수진 기자] 상반기 10대 건설사 브랜드를 단 오피스텔 공급이 대거 이어진 가운데 이달 기준 평균 분양가는 5천868만원으로 집계됐다. 분양가 상승세가 지속 중인 것으로 확인되는데 오피스텔 선호 현상이 커지고 있는데다, 대형건설사가 시공하는 오피스텔이 우수한 상품성이 뒷받침해 서울 강남지역 오피스텔 분양가를 5년 만에 약 3배까지 끌어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부동산시장분석업체 부동산인포가 부동산R114 오피스텔 분양가 통계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 강남구에서 분양된 오피스텔의 분양가는 3.3㎡당 5천468만원을 기록했다. 이는 2016년(1천843만원) 대비 약 3배로 오른 것이다. 이는 아파트보다 규제가 덜한 ..
2022.05.13 -
[투데이T] 종부세 부담에 기준금리도 인상…주택 매수심리 ‘꽁꽁’
전문가들, 똘똘한 한 채 선호·수요 양극화 현상 심화 매매 수요 감소로 전·월세 시장에 부담 증대 관측도 “집주인, 세입자에 조세·금리 부담 전가 현상 나올수도” [투데이T 천수진 기자]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연 0.75%인 기준금리를 1.00%로 0.25%포인트 인상하면서 가뜩이나 움츠러든 주택 매수심리가 더욱 위축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종합부동산세 등 보유세 부담이 커진 가운데 금리까지 상승 추세를 보이면서 다주택자들의 고민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25일 지난 8월 인상 이후 3개월 만에 다시 금리를 올렸다. 이로써 기준금리는 지난해 코로나 확산 사태 여파로 0%대로 떨어졌다가 20개월 만에 다시 1%대로 상승했다. 기준금리에 영향을 받는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신규 기..
2021.1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