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9. 30. 17:52ㆍ부동산
홍기원 “공공분양은 분양가 상관없이 실거주 의무 강화해야”
신혼희망타운 수분양자들이 막상 주택을 공급받고도 실거주하지 않고 비싼 전세로 돌려 정책의 취지가 퇴보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홍기원 의원은 29일 보도자료를 내고서 “최근 입주가 시작된 평택 고덕 신혼희망타운은 6~9월 전월세 거래 33건이 이뤄졌고, 네이버 부동산에 따르면 이달 21일 기준으로 85건의 전월세 매물이 나와 있었다”라고 밝혔다.
평택 고덕 신혼희망타운은 전체 891가구로 신혼희망주택 569가구, 행복주택 295가구로 구성돼 있다. 시세 대비 100% 이상의 분양가로 실거주 의무가 없고 전매제한은 3년이다.
LH가 신혼희망타운을 분양할 때 46.97㎡ 최고 분양가는 1억9884만원이었지만 올해 9월 전셋값은 2억5000만원에 달했다.
55.97㎡의 경우 최고 분양가는 2억3694만원이었지만 올해 8월 2억8000만원으로 전세가 거래됐다.
심지어 55.97㎡의 최고 분양가는 최근 전세 거래가 된 46.97㎡ 전세가보다 낮았다.
전세가가 분양가를 역전한 사례는 전세 계약이 완료된 19건 중 18건에 달했다고 홍 의원은 강조했다.
홍 의원은 “평택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최근 르플로랑의 55㎡ 전세 최고 호가는 3억3000만 원으로 평균 분양가보다 1억
원이 높다. 앞으로도 계속 오를 것으로 전망되는데 젊은 신혼부부를 위한 공공분양이 갭투자 등 투기의 수단으로 변질하고 있어 공공분양은 분양가와 상관없이 실거주 의무를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계대출 규제 강화에 주택 시장 ‘혼조세’ (0) | 2021.10.08 |
---|---|
3기 신도시, 철도 18%·도로 37.2%만 입주 시점 개통 (0) | 2021.09.30 |
‘고분양가 관리제도’ 7개월 만에 일부 개선 (0) | 2021.09.30 |
“지방 자산가들, 집 사러 서울 강남간다” (0) | 2021.09.30 |
헝다 사태 이후…“부동산 산업 규제 완화 시사 가능성” (0) | 2021.09.30 |